초등학생들에게 독서란 새로운 정보를 알고, 다양한 상상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며, 학습에 가장 중요한 언어능력(문해력)을 키우는 두뇌활동과 성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혼자 독서에 습관을 들이거나 즐기는 학생은 많지 않습니다. 그만큼 부모님의 많은 관심과 올바른 지도가 필요합니다. 그럼 자녀가 즐거움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흥미로운 책 선택하고 함께 읽어주세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흥미로운 책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초등학생들은 다양한 장르의 책을 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모험, 판타지, 동화, 역사, 스포츠, 과학 등 여러 종류의 책을 사주시고 함께 읽어주세요. 처음에 아이들이 책을 스스로 읽으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책을 읽는 것보다 영상을 보는 것을 선호하여 책 읽기를 귀찮은 것, 억지로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부모님이 함께 실감나게 읽어 주시어 책과 친숙해지고 책속 다양한 지식과 정보에 흥미를 느끼게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다 보면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나 스토리 텔링 방식이 무엇인지 알아가게 되고 점점 스스로 책을 읽으며 책에 수많은 지혜와 앎에 참 재미를 깨닫게 됩니다. 처음이 어렵지 한번 습관을 들여주시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책읽기를 즐기게 됩니다. 주말 쉬는 날에 아이와 도서관이나 서점을 방문하여 여러 책을 보여주고, 책 내용을 함께 이야기 해 보세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네가 스스로 읽어!"가 아니라 "우리 함께 책을 읽어 볼까?"입니다.
독서 환경 조성하기
독서를 할 수 있는 편안하고 조용한 공간을 마련해 주세요. 아이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은 매우 중요합니다. 항상 주변을 깨끗이 정돈해 주세요. 주변이 지저분하면 아이들은 불안함을 느끼고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아이들이 책을 읽는 공간은 밝은 조명에 소음이 없는 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책을 읽는 시간을 정해주면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독서가 습관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녁 식사 후나 잠자기 전 20~30분 동안 독서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습니다.
부모가 독서하는 모습 보여주세요.
부모님이 평소 독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자녀의 독서 습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님이 먼저 책을 자신의 주변에 놓고 시간이 날 때 잠깐씩이라도 책을 읽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반복적으로 보여주세요. 그리고 대화할 때 독서의 즐거움에 대해 반복적으로 말해주세요. 예를들면 "이 책 정말 재밌어!" 혹은 "이 이야기를 읽고 나니 내가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알게 되었어!"와 같은 이야기를 나누면, 자녀도 책속에 세상을 궁금해 하고 독서를 더 즐기며 성취감을 느끼고 싶어 할 것입니다.
대화를 통해 사고력을 키워주세요.
책을 다 읽은 후에는 자녀와 함께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책의 내용, 등장인물, 주제 등에 대해 질문하고, 자녀의 생각을 들어보세요. 질문을 통해 아이들의 기억력과 사고력, 올바른 판단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처음엔 내용을 확인하는 간단한 질문으로 시작해서 독서 경험이 쌓일 수록 "주인공이 이렇게 행동한 이유는 뭐라고 생각해?"와 같이 인물에 행동에 대한 비판이나 "책속에서 벌어진 문제에 대해 어떻게 하면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와 같이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질문들은 자녀의 두뇌역량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서로의 의견을 나누면서 부모와 자식간의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책이라는 간접경험을 통해 부모와 아이는 더 강하게 유대감이 형성됩니다. 그래서 엄마가 아이를 이해하고 아이가 엄마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깊이 있는 독서를 할 수록 아이는 세상에 짧은 영상에 없는 책만의 흥미진진한 정보와 사건들 속에서 스스로 상상하며 부족한 내용을 채워나가는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에 푹 빠져 건강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현명한 아이로 성장할 것입니다.
독서 후 활동까지 함께해요.
독서 후 독서 노트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녀가 읽은 책의 제목, 저자, 줄거리, 인상 깊었던 장면 등을 짧게 기록하게 해보세요. 이를 통해 자녀는 책의 내용을 더 잘 기억하고, 책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집어보며,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중에 자신이 읽었던 책을 돌아보며 즐거운 독서경험을 떠올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항목을 만들고 내용을 작성하게 하거나 부모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진 마세요. 아이들에게 독서가 해야할 숙제로 느낀다면 책은 귀찮은 것, 지겨운 것이라는 편견이 생기고 책에 대한 흥미와 집중력을 떨어트려 독서를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독서노트를 부담스러워 하는 아이들에게는 독서 후에 간단한 서평을 작성하게 하세요. 간단한 형식으로, 책의 내용과 느낌을 정리하게 하는 것입니다. 서평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자녀는 자신이 읽은 내용을 분석하게 되고,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녀가 책을 읽고 나서 해낸 성과에 대해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마세요. "이 책을 정말 잘 읽었구나!" 혹은 "네가 이 책을 읽고 이렇게 생각했다니 정말 대단해!" 같은 응원은 자녀의 자신감을 높여주고, 독서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것입니다.
끝 마무리
독서는 단순한 숙제가 아닌, 즐겁고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아이들은 독서를 통해 학습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읽기 ,쓰기 능력을 학습하고, 독서 후 활동을 통해 책과 나, 나와 다른 사람, 나와 세상을 연결하는 소통의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독서를 통해 얻는 정보와 스토리에 대한 분석과 판단들은 학교 공부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됩니다. 또한 어른이 되어서도 상황에 알맞은 언어 사용은 그사람의 품격과 신뢰를 높여주고 주변 사람들과의 원활한 소통으로 좀 더 평안하고부유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런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독서를 부모님이 지원하고 격려함으로써, 자녀는 독서의 즐거움을 깨닫고 자연스럽게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독서를 통해 자녀와 함께 독서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보세요. 그 여정 속에서 자녀의 지식과 사고력, 상상력이 무럭무럭 자라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참 독서의 즐거움을 아이들과 함께 나누며,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
'국어, 독서, 토론, 글쓰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등학교 올바른 논술문 작성법(수행평가 글쓰기) (4) | 2025.04.03 |
---|---|
우리 아이를 책과 친하게 만드는 7가지 방법 (8) | 2025.04.02 |
(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뇌성마비 지체장애 (0) | 2023.03.15 |
학습장애의 정의와 유형, 원인, 특성 (0) | 2023.03.13 |
자폐성장애의 유형과 원인, 특성 (0)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