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2 우리 아이의 미래를 위한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우리 아이는 스마트폰도 잘 다루고, 궁금한 것도 유튜브로 찾아봐요." 요즘 부모님들 사이에서 자주 듣는 말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것만으로 충분할까요? 2023년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약 80%가 온라인에서 얻은 정보를 비판 없이 신뢰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유튜브 영상에서 "소금을 많이 먹으면 키가 큰다"는 잘못된 정보를 아이들이 그대로 믿고 따라 한다는 이야기이지요. 이처럼 아이들은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그대로 비판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1. 아이에게 이런 일이 생긴 적 있으신가요?📌 유튜브에서 본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진짜처럼 말해요.📌 친구들과 메신저 대화를 하다 오해가 생겨 다투었었어요.📌 인터넷에 정보를 그대로 베껴서 숙제를 끝냈다고 자랑.. 2025. 4. 17. 초등 글쓰기의 첫걸음, 동시로 감성 키워요.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아이와 동시로 한 걸음씩 걸어가 보세요. ― 국어 논술 선생님이 알려주는, 우리 아이 글쓰기 시작법 초등학생 아이의 글쓰기 지도에 대해 고민이 많으신가요? 6년간 아이들 논술 교육을 지도해 오며 가장 많이 들은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 "우리 아이는 글쓰기를 싫어해요." "글을 쓰면 내용이 엉망이에요." 저는 이럴 때 동시 쓰기를 추천드립니다. 동시는 형식이 자유롭고 내용이 짧아 글 쓰는 부담감이 적습니다. 그리고 점점 AI로 자동화되는 미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자신만의 감성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어요. 다음 4단계를 천천히 따라오시면 글쓰기를 싫어하는 아이들을 어렵지 않게 글쓰기를 잘하는 아이로 바꿀 수 있어요. 🦄 1단계. 동시 쓰기를 위한 마음을 열어요 .. 2025. 4. 5. 이전 1 다음